Page 72 - 한국감정평가사협회 추천제도 설명자료_단면
P. 72

<표 1> 감정평가업자 의뢰유형 및 관련기관


                      구분             주요 의뢰인                           관련법률
                      부동산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국토교통부, 지방자치단체              『부동산 가격공시에 관한 법률』  『지방세법』
                     가격공시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사업시행자(중앙부처, 지방자치단        『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』
                     보상평가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체, 공공기관, 조합 등)       『전기사업법』, 『송변전설비 주변토지 보상에 관한 법률』 등

                    국공유재산     관리청(KAMCO, LH공사, 도로공사,     『국유재산법』, 『공유재산 및 물품관리법』, 『국세징수법』
                    매각/처분 등         시도/시군구 등)                     『도로법』, 『하천법』 등

                      조세        국세청(세무서), 지방자치단체         『상속세 및 증여세법』, 『법인세법』, 『부가가치세법』 등

                     경매, 쟁송        법원, 법무법인 등                       『민사집행법』 등

                    개발부담금         국가, 지방자치단체 등                  『개발이익 환수에 관한 법률』

                   정비사업/개발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시군구, 개발조합               『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』, 『도시개발법』 등
                     환지처분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금융기관(은행, 저축은행 등)
                     담보평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『감정평가법』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금고, 협동조합 등
                    부동산거래       개발업자, 투자자 등 일반인                      『감정평가법』

                    자문 및 상담     개발업자, 투자자 등 일반인                      『감정평가법』



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)
                    ■  감정평가계약은 의뢰인의 요청과 감정평가업자의 승낙을 통해 체결된다.  이 계약의 성격은
                       “업무수행에 있어 의뢰인의 지시나 감독을 받지 않고, 전문성과 신뢰성을 바탕으로 재량성을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)
                       가진다”는 측면에서 『민법』 제680조에 의한 ‘위임계약’에 해당한다는 것이 주된 시각이다.
                    ·  위임계약은 개념상 사무처리를 목적으로 위임인과 수임인간의 사무처리계약이며, 여기서 사무
                      처리는 법률행위일 수도 있고, 사실행위일수도 있다. 감정평가계약에서는 감정평가업자가 수
                      임인이 된다.






                  2.  우리의 『민법』 제680조에 위임에 대한 사항을 규정하고 있다. “(위임의 의의) 위임은 당사자 일방이 상대방에 대하여 사무의 처리를 위탁하고 상대방이 이를 승낙함으
                   로써 그 효력이 생긴다.” “위임의 목적은 ‘사무처리의 위탁’에 있는데 그 사무처리의 위탁은 수임인으로 하여금 그의 재량에 의하여 사무를 처리케 하는 것을 말한다.
                   이것은 수임인이 독립성을 갖는 것을 전제로 한다. 또한 위임인과의 사이에 일종의 신임관계가 성립한다.”(https://ko.wikipedia.org/)
                  3).  위임계약과 다른 개념이 ‘도급계약’이다. 이는 계약당사자 중 일방이 어느 일을 완성할 것을 약정하고 상대방이 그 일의 결과에 대하여 보수를 지급할 것을 약정함으
                   로써 그 효력이 생기는 것으로 『민법』 제664조에 규정되어 있다.
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1
   67   68   69   70   71   72   73   74   75   76   77